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골다공증 커피 상관관계, [과연 커피 1잔이 뼈에 해로울까?]

by 슝닥터 2025. 2. 26.

골다공증 커피 상관관계, 골다공증에 대해서 이 포스팅을 통해 간단히 알아가시길 바랍니다.

 

골다공증이란?

골다공증이란 사전적으로는 뼈의 주성분 중 칼슘이 급격히 빠져나가 정상적인 뼈에 비해 골밀도가 낮아져서 구멍이 난 뼈를 지칭합니다.

 

골다공증 원인

골다공증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들을 소개합니다.

  1. 칼슘 흡수 장애
  2. 폐경(갱년기)
  3. 비타민 D 결핍
  4. 약물(갑상선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 이뇨제 등)
  5. 운동 부족
  6. 과음
  7. 가족력
  8. 카페인(골다공증 커피)

 

골다공증 진단 기준

골다공증의 진단 기준은 골밀도 검사를 통한 티 수치(T-scores)로 판단을 합니다.

 

골다공증 수치(T-scores)

골다공증의 수치는 티 수치(T-scores)로 판단을 하는데요. 이게 뭐냐면 그냥 간단하게 말하면 골밀도 수치입니다.

위의 사진처럼 누워서 진행하는 것인데 병원을 가서 진행하시면 약 5분 정도면 끝납니다.

위와 같이 진행을 하시면 골밀도 수치가 나옵니다.

구분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T-값 -1.0 이상 -1.0~-2.5 -2.5 이하

T-2.5 이하가 도면 골다공증으로 진단하게 됩니다.

 

만약 병원에서 골다공증 검사인 골밀도검사를 받게 된다면 본인이 급여 기준에 부합되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가. 급여대상

1)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 있는 경우

2)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을 복용 중이거나 장기간(3개월 이상) 투여 계획이 있는 경우

3) 기타 골다공증 검사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

나. 급여 횟수

1) 진단 시 1회 인정

2) 추적검사

가) Z-score 〉 -1.0인 경우: 2년에 1회

나) -2.0 ≤ Z-score ≤ -1.0인 경우: 1년에 1회

다) Z-score 〈 -2.0인 경우: 첫 1년은 6개월에 1회, 그 이후부터는 1년에 1회

라) 환자의 장기부재, 진료일정 등 불가피한 사유로 추적검사 실시간격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4주 범위 내에서 인정

다. 검사결과 제출

「요양급여비용 청구방법, 심사청구서·명세서서식 및 작성요령」에 따라 명세서‘특정내역(JT024)'란에 검사 결과를 작성·청구함.

 

 

골다공증 커피 상관관계

아마 기사에서 골다공증 환자에겐 하루에 커피를 많이 마시면 독이라는 말을 얼핏 보셨을 텐데요.

골다공증 커피는 무슨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골다공증 커피, 단순하게 생각해서 골다공증에는 커피가 안 좋은 것일까요?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니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원리에 대해서 말씀드리면 뼈에게 중요한 것은 뼈의 밀도가 중요하답니다. 이 뼈의 밀도를 좌지우지하는 것은 바로 영양소 중 하나인 '칼슘'입니다. 

골다공증 커피, 커피에는 이러한 칼슘의 흡수를 방해하는 요인인 카페인이 있습니다. 그러면 쉽게 생각하시면 커피를 마시면 카페인이 있기 때문에 카페인의 흡수를 방해하니 커피는 골다공증(골밀도)에 안 좋다는 결론이 날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커피, 물론 하루에 커피를 많이 마시게(3잔 이상) 된다면 카페인의 섭취량이 많아 골다공증(뼈 밀도)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은 팩트입니다.

즉, 성인 기준으로 일일 카페인 최대 섭취량은 400mg 정도이고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카페인 수준은 330mg 정도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일상에서 커피 전문점에서 사는 커피에 포함된 카페인 양은 100~300mg 정도이므로 3잔 이상 마시게 되면 뼈 밀도 유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사실이란 것입니다.

골다공증 커피, 하지만 그 반대로 생각해서 하루에 커피를 3잔 이상 마시지 않는다면 어떨까요? 이것에 대한 대답은 case by case입니다.

골다공증 커피, 왜냐하면 카페인은 커피에만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죠. 탄산음료, 각종 차, 초콜릿 등에 카페인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커피 2잔 마셨으니 괜찮다고 안심할 것이 아니라는 것이죠.

골다공증 커피, 그래서 결론이 뭔데?라는 생각을 가지실 수 있는데요. 결론은 "적당히 마셔라"입니다.

그리고 제가 내린 결론은 두 가지입니다.

첫 째는 웬만하면 커피를 하루에 한 잔만 마시자.

둘 째는 커피를 두 잔 이상 마시면  칼슘이 많은 음식을 같이 섭취해 주자.

 

골다공증 예방법

예방법이기에 비약물적인 치료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1. 칼슘 섭취

칼슘 1일 권장량은 성인은 800~1,000mg, 폐경 후 여성 및 50세 이상 남성은 1,000~1,200mg입니다.

칼슘이 풍부한 음식으로는 우유, 유제품, 생선, 해조류, 두부, 채소류(케일, 브로콜리, 시금치)에 많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두부를 섭취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고 효율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2. 비타민 D 섭취

비타민 D의 1일 권장량은 800IU입니다. 음식으로는 시금치, 표고버섯, 달걀, 새우 등에 많습니다.

 

3. 칼마디 영양제

위의 1, 2번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음식으로 섭취하는 것은 사실 정말 어렵죠. 다들 머리로는 알지만 먹고 싶은 음식이 있어서 먹고 나면 배불러서 저런 음식들을 섭취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영양제라는 것들이 만들어진 것이기도 하고요. 칼마디 영양제는 칼슘, 마그네슘, 비타민D를 합친 영양제이니 골다공증에는 당연히 좋겠죠.

 

4. 운동 및 금주, 비흡연

당연한 얘기겠지만 음주, 흡연은 몸에 안 좋습니다. 골다공증에도 마찬가지죠. 운동은 골밀도를 증가시켜 골절을 예방합니다.

사실 운동이 좋다는 것은 다 아시지만 하시기 힘들잖아요. 제가 추천하는 운동은 하루에 진짜 딱 30분만 하세요. 눈으로 보이는 효과는 크지 않지만 몸에서는 서서히 변화가 일어날 겁니다.

 

음식별 카페인 함량

  • 탄산음료 : 500ml당 83.8mg
  • 과자 : 100g당 1.5mg
  • 초콜릿 : 100g당 3mg
  • 아이스크림 : 100g당 1.8mg
  • 캔커피 : 200ml당 118mg
  • 믹스커피 : 10g당 81.3mg

 

골다공증 진료과

골다공증 진료과는 정형외과입니다.

 

골다공증 치료제

  1. 칼슘 제제 
  2. 비타민 D
  3. 칼시토닌
  4. 에스트로겐
  5. 골흡수억제제(비스포스포네이트)
  6. 부갑상선호르몬
  7. 스트론튬
  8. 불화나트륨

 

 

 

탄수화물 종류 3가지, 건강하게 탄수화물 섭취하기

안녕하세요. 온 닥터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탄수화물 종류, 그리고 건강하게 탄수화물 섭취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탄수화물이란? 탄수화물이란 3대 영양소 중 하나

pt.newthinb.com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